1. 사고피해예측
1) 사고 피해 예측의 목적
피해 정도를 사전에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피해최소화 대책수립 및 비상조치 계획에 활용하기 위함
2) 피해예측의 활용도
① 피해최소화를 위한 비상조치계획 보완
② 위험가소를 위한 설비적 보완
③ 토지 사용계획 활용
④ 종합적 위험도 평가
2. 공정사고 발생시
1) 피해예측을 위한 내용
사고유형 | 누출(확산) | 화재 | 폭발 | |
대상물질 | 독성물질 | 인화성물질 | 인화성물질 | 인화성물질 폭발성물질 |
예측내용 (거리별) |
독성물질 | 인화성가스 (증기)농도 |
복사열 | 과압 및 비산 |
3. 공정사고영향
1) 피해영향 평가를 위한 기준점 설정(끝점 : Ending Point)
피해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지침에서 주어진 끝점농도, 과압 또는 복사열 등의 수치에 도달하는 지점을 말함
-. 독성물질인 경우 다음 중 하나
: 끝 점 농도가 코드에서 규정한 농도(mg/L, at 25℃)에 도달하는 지점
① AEGL2(1시간)
: AEGL 급성폭로기준 레벨 (Acute exposure guideline level, AEGL)
AEGL은 미국 환경보호청인 EPA에서 정한 화학물질 누출이나 재난으로 인한 일반 시민의 노출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 EPA의 National Advisory Committee for AEGL에 의해 개발
② ERPG2
: ERPG 비상대응계획 수립지침 (Emergency response planning guideline, ERPG)
미국산업위생학회(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AIHA)에서 발표하는 기준이며, 관심의 우선순위, 취급·저장평가, 누출시 확산지역의 파악 및 지역사회의 비상대응계획을 수립하는데 사용되는 지침 을 말하며, 이 지침에서 사용되는 농도는 공기 중의 농도에 따라 ERPG-1, ERPG-2 및 ERPG-3 등으로 구분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③ TEEL2
: TEEL (Temporary Emergency Exposure Limits); 단시간 비상폭로한계
U.S. Department of Energy에서 정한 기준으로 주어진 기간동안 대부분 사람이 화학물질에 노출되어 건강영향을 겪을 농도의 추정치로 실제 기준 설정은 Subcommittee on Consequence Assessment and Protective Actions (SCAPA)에서 하였고, ERPG, AEGL처럼 TEEL-1, TEEL-2, TEEL-3 로 구분
④ IDLH * 10%
: IDLH 즉시 건강위험농도(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or Health, IDLH)
“즉시건강위험농도 (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and health, IDLH)”라 함은 미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에서 발표하는 기준으로 생명 또는 건강에 즉각적으로 위험을 초래하는 농도이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 30분간 노출되면 사망 또는 회복 불가능한 건강장해를 일으킬 수 있는 농도
-. 가연성가스 및 인화성물질인 경우
① 폭발인 경우 : 0.07kgf/cm2(1psi)의 과압(고막손상)이 걸리는 지점
② 화재인 경우 : 40초 동안 5kW/m2의 복사열(화상)에 노출되는 지점
③ 누출인 경우 : 누출된 물질의 폭발하한 농도 100%에 이르는 지점
2) 사고 피해예측 프로그램 이용(끝점거리 계산)
가상사고 발생에 대해 정량적으로 피해수준을 예측하여 안전거리 확보 등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활용 및 근로자는 물론 인근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사고 결과 분석(Consequence Analysis, CA)에 애릥 프로그램을 사용
-. KORA : 환경부/ 화학물질 안전원
-. PHAST : DNV, 유료(사업용 널리 사용)
-. ALOHA : 미국 보호 보호청(EPA), 무료
-. TRACE : Dupont, 유료(삽업용으로 사용)
-. e-CA : 안전보건공단 개발
'S-안전 > 화공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M 이행상태 평가 시 느낀점 (0) | 2022.01.22 |
---|---|
PSM 점검 시 준비서류 (0) | 2022.01.16 |
안전밸브에 관한 기술지침 (0) | 2021.12.19 |
최악 및 대안의 누출 시나리오 선정 (0) | 2021.12.19 |
PSM 준비서류(이행상태 평가, 이행실태 점검) (0) | 2021.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