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당 근로시간 한도를 52시간내로 관리하기 위해서 가장 안정적인 교대근무제도는 4조 교대 근무제도입니다.
4조 교대 근무조는 1년 총 가동시간을 4개조가 나누어 일하는 것으로 연간 2190시간,
주간 42시간을 일하게 되어 근로시간 한도 위반의 소지가 적습니다.
따라서 3조 교대제를 운영하고 있는 300인 이상 사업장은 2018.7.1부터 4조 교대제 전환을 고려해야 합니다.
1. 4조 2교대 특징
1) 근무시간 : 12시간
2) 1년 중 출근일수 : 182.5일
3) 근무형태 : 2근 2휴, 3근 3휴
2. 4조 3교대 특징
1) 근무시간 : 8시간
2) 1년중 출근일 수 : 273.25일
3) 근무형태
-. 6일근무 2일휴무(3근 1휴)
-. 5근 2휴, 5근 2휴, 5근 1휴(3근 1휴)
-. 4근 1휴, 4근 1휴, 4근 2휴(3근 1휴)
3. 4조 2교대와 3교대의 장단점
4. 4조 2교대의 효과
1) 근로자 입장에서는 출근일수가 줄어들고 휴일이 증가하여 삶의 질이 높아지고, 회사 입장에서는 교육훈련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혁신활동 시간확보가 가능해집니다.
2) 회사 차원에서도 주 52시간 근무를 맞추기 쉬워진다. 기존 4조 3교대에선 근무일이 자주 돌아오기 때문에 휴가 등으로 결원이 발생할 때 대체 근무자를 찾기 쉽지 않고, 대체자가 하루 16시간 일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업계 관계자는 “4조 2교대는 4조 3교대에 비해 교대횟수가 줄어들어 업무 인수인계 중 트러블 발생 가능성이 감소하고 사전 업무 파악을 통해 업무 연속성을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인 공장 운영이 가능하다
4) 주간조와 야간조가 상호맞교대를 하게되어 팀간 협력의식이 강화되고 인수인계시간이 줄어드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습니다.
참고기사 : https://www.asiatime.co.kr/article/20210720500250
확대되는 ‘4조 2교대’…4조 3교대와 무슨 차이
[아시아타임즈=조광현 기자] 대기업 현장직의 교대근무 시간표가 ‘4조 3교대’에서 ‘4조 2교대’로 변화의 바람이 거세다. 4조 2교대는 기존 4조 3교대와 비교해 하루 근무시간은 4시간가량 길
www.asiatime.co.kr
참고기사 :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690912.html
포스코 ‘4조 2교대’ 중단…‘4조 3교대’ 돌아가나
시행 4년 안 돼 “피로도 높고 업무 연속성 저하” 신 4조2교대·4조3교대 중 택일 “조직 기강 강화 차원” 해석도
www.hani.co.kr
'SHE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대재해처벌법 적용대상 사업장 (0) | 2022.03.16 |
---|---|
① 산업안전지식공유 'H사' (0) | 2022.01.08 |
RE-100 (0) | 2021.10.03 |
녹색프리미엄 제도 (0) | 2021.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