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안전/소방안전

소방설비기사 기계실기_수원의양(포소화설비)

9.포소화설비 포소화약제의 저장량

※ 개념

포소화설비는 비누거품이 약제인데, 거품 자체로 발사가 안되기에 물이 동반되는 것

1) 포원액(거품, 3% or 6%) + 물(수원, 97% or 94%) = 포수용액(100%)

※ 원액의 농도가 주어진경우 수원의 농도는 100% - 원액의 농도 -> 위험물안전관리법 개념 

 

2) 원액의 농도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 수원의 양을 구하라고 할 경우, 수원의 농도는 100%로 가정한다.

※ 물과 원액은 별개이므로, 원액이 3%인 경우, 물은 100%, 수용액의 농도 103% -> 화재안전기준 개념 

 

(1) 고정포방출구 방식

1) 고정포방출구에 필요한 양

Ql = A X Q1 X T X S

여기서, 

Ql : 포소화약제의 양[L]

A : 탱크의 액표면적[M2]

Q1 : 단위포소화수용액의 양(방출률)

T : 방출시간[min]

S : 포소화약제의 사용농도[%]

 

※계산문제 유형

1) 포수액의양 : S =100% =1

2) 원액의양 : 1) X S1(3% or 6%)

3) 수원의양 : 1) X S2(97% or 94%) 

 

※ 방출방식

자동방식 : 1) 고정포방출구 2) 포헤드 방식 3) 포워터 방식 4)압축공기포 방식

수동방식 : 5) 옥내 포소화전(호스릴포) 

 

옥외저장탱크(CRT와 FRT)의 포화설비 문제를 반복 공부

 

(2) 옥내포소화전방식, 호스릴방식